






<송도키즈: 홈커밍데이>
기록 공유 프로젝트 [송도키즈: 홈커밍데이] 는 1937년 일본인들의 휴양지로 만들어져 1970~1990년대 부흥기를 지나 2011년 9월1일 폐장한 인천송도유원지와 송도 주변 상권을 기억하고 추억하는 분들의 이야기를 수집/공유하는 프로젝트이다.
기획: 김보배
디자인: LLRP, 김보배
사진,영상: 김용선
진행: 안근철, 이정주, 장유진
주최: 코-, 인천광역시
주관: 인천문화재단
_
<Songdo Kids: Homecoming Day>
The record-sharing project [Songdo Kids: Homecoming Day] collects and shares stories from people who remember and reminisce about the Incheon Songdo Resort, which was originally built as a leisure destination for Japanese people in 1937, went through a period of revival from the 1970s to the 1990s, and closed on September 1, 2011. The project focuses on preserving memories of the resort and the surrounding commercial area of Songdo.
Planning: Kim Bobae
Design: LLRP, Kim Bobae
Photography & Video: Kim Yongseon
Project Management:
Lee Jeongju, Jang Yujin, Ahn Geuncheol
Hosted by: Co-, Incheon Metropolitan City
Organized by:
Incheon Cultural Foundation
기록 공유 프로젝트 [송도키즈: 홈커밍데이] 는 1937년 일본인들의 휴양지로 만들어져 1970~1990년대 부흥기를 지나 2011년 9월1일 폐장한 인천송도유원지와 송도 주변 상권을 기억하고 추억하는 분들의 이야기를 수집/공유하는 프로젝트이다.
기획: 김보배
디자인: LLRP, 김보배
사진,영상: 김용선
진행: 안근철, 이정주, 장유진
주최: 코-, 인천광역시
주관: 인천문화재단
_
<Songdo Kids: Homecoming Day>
The record-sharing project [Songdo Kids: Homecoming Day] collects and shares stories from people who remember and reminisce about the Incheon Songdo Resort, which was originally built as a leisure destination for Japanese people in 1937, went through a period of revival from the 1970s to the 1990s, and closed on September 1, 2011. The project focuses on preserving memories of the resort and the surrounding commercial area of Songdo.
Planning: Kim Bobae
Design: LLRP, Kim Bobae
Photography & Video: Kim Yongseon
Project Management:
Lee Jeongju, Jang Yujin, Ahn Geuncheol
Hosted by: Co-, Incheon Metropolitan City
Organized by:
Incheon Cultural Foundation






<내게 다정한 사람>
2024 인천아트플랫폼 기획전시를 위한
전시 아이덴티티 및 도록 디자인.
디자인: 곽은정, 김보배
주최: 인천광역시
주관: 인천문화재단, 인천아트플랫폼
_
<𝙏𝙝𝙚 𝙁𝙧𝙞𝙚𝙣𝙙𝙡𝙞𝙚𝙨> The exhibition identity and catalog design for the Incheon Art Platform special exhibition 2024.
Design by Bobae Kim, Eunjung Kwak
Hosted by the Incheon Metropolitan City
Organized by the Incheon Cultural Foundation and the Incheon Art Platform
Catalog 190×260mm, 138 page, English/korean
ISBN 978-89-92678-97-1 (print)
ISBN 978-89-92678-98-8 (digital)
2024 인천아트플랫폼 기획전시를 위한
전시 아이덴티티 및 도록 디자인.
디자인: 곽은정, 김보배
주최: 인천광역시
주관: 인천문화재단, 인천아트플랫폼
_
<𝙏𝙝𝙚 𝙁𝙧𝙞𝙚𝙣𝙙𝙡𝙞𝙚𝙨> The exhibition identity and catalog design for the Incheon Art Platform special exhibition 2024.
Design by Bobae Kim, Eunjung Kwak
Hosted by the Incheon Metropolitan City
Organized by the Incheon Cultural Foundation and the Incheon Art Platform
Catalog 190×260mm, 138 page, English/korean
ISBN 978-89-92678-97-1 (print)
ISBN 978-89-92678-98-8 (digital)






«부유/현실/기록»
2023 인천미술 올해의 작가 오원배 개인전 «부유/현실/기록»의 전시 아이덴티티 작업을 진행하였습니다.
이번 전시의 제목은 현실 속에 부유하는 수 많은 존재들과 관계를 맺고, 이를 사유를 통해 기록하는 작가의 예술적 태도를 은유합니다.
디자인: 김보배, 곽은정
폰트: 오흐탕크, lo-ol type
주최: 인천광역시
주관: 인천문화재단, 인천아트플랫폼
_
«Floating/Reality/Documents» The exhibition identity for the Incheon Artist of the Year 2023: Oh Wonbae’s Solo Exhibition «Floating/Reality/Documents». The title of this exhibition metaphorically signifies the artist‘s attitude of engaging with myriad entities floating within reality and documenting them through artistic contemplation.
Design by Kim Bobae, Kwak Eunjung
Font Ortank by lo-ol type @lo.ol.type
Hosted by the Incheon Metropolitan City
Organized by the Incheon Cultural Foundation and the Incheon Art Platform @incheonartplatfo
2023 인천미술 올해의 작가 오원배 개인전 «부유/현실/기록»의 전시 아이덴티티 작업을 진행하였습니다.
이번 전시의 제목은 현실 속에 부유하는 수 많은 존재들과 관계를 맺고, 이를 사유를 통해 기록하는 작가의 예술적 태도를 은유합니다.
디자인: 김보배, 곽은정
폰트: 오흐탕크, lo-ol type
주최: 인천광역시
주관: 인천문화재단, 인천아트플랫폼
_
«Floating/Reality/Documents» The exhibition identity for the Incheon Artist of the Year 2023: Oh Wonbae’s Solo Exhibition «Floating/Reality/Documents». The title of this exhibition metaphorically signifies the artist‘s attitude of engaging with myriad entities floating within reality and documenting them through artistic contemplation.
Design by Kim Bobae, Kwak Eunjung
Font Ortank by lo-ol type @lo.ol.type
Hosted by the Incheon Metropolitan City
Organized by the Incheon Cultural Foundation and the Incheon Art Platform @incheonartplatfo




<영등포 탐사단: 문래동 영단주택 포럼>
문래동 영단주택단지’는 1940년대 영등포 공업지역의 노동자를 위해 조선주택영단이 건설한 대규모 단지형 주택으로 시간이 지나 금속 가공업체들이 들어오며 현재 대부분 소규모 공장으로 변화되었으나 내부에는 아직도 주거용도로 사용하며 원형이 고스란히 남아있는 주택
도 있다. 이번 포럼은 문래동4가에 위치한 영단주택단지의 존재와 가치를 알리기 위한 프로젝트이다.
기획: 김보배, 안근철, 이정주
디자인: 김보배
주최: 영등포탐사단
주관: 영등포문화재단, 문화도시 영등포
_
<Yeongdeungpo Exploration Team:
Mullae-dong Yeongdan Housing Forum>
The Mullae-dong Yeongdan Housing Complex is a large-scale residential complex built in the 1940s by the Joseon Housing Corporation to accommodate workers in the Yeongdeungpo industrial area. Over time, metal processing businesses moved in, and most of the area transformed into small factories. However, some houses still retain their original form and are used as residential spaces.
This forum aims to highlight the existence and significance of the Yeongdan Housing Complex located in Mullae-dong 4-ga.
Planning:
Kim Bobae, Ahn Geuncheol, Lee Jungjoo
Design: Kim Bobae
Hosted by: Yeongdeungpo Exploration Team
Organized by: Yeongdeungpo Cultural Foundation, Cultural City Yeongdeungpo
incheonartplatfo
도 있다. 이번 포럼은 문래동4가에 위치한 영단주택단지의 존재와 가치를 알리기 위한 프로젝트이다.
기획: 김보배, 안근철, 이정주
디자인: 김보배
주최: 영등포탐사단
주관: 영등포문화재단, 문화도시 영등포
_
<Yeongdeungpo Exploration Team:
Mullae-dong Yeongdan Housing Forum>
The Mullae-dong Yeongdan Housing Complex is a large-scale residential complex built in the 1940s by the Joseon Housing Corporation to accommodate workers in the Yeongdeungpo industrial area. Over time, metal processing businesses moved in, and most of the area transformed into small factories. However, some houses still retain their original form and are used as residential spaces.
This forum aims to highlight the existence and significance of the Yeongdan Housing Complex located in Mullae-dong 4-ga.
Planning:
Kim Bobae, Ahn Geuncheol, Lee Jungjoo
Design: Kim Bobae
Hosted by: Yeongdeungpo Exploration Team
Organized by: Yeongdeungpo Cultural Foundation, Cultural City Yeongdeungpo
incheonartplatfo












<문래일지도>
문래와 대동여지도의 합성어인 문래일지도는 문래동을 다양한 방법으로 기록하고 탐방할 수 있는 프로젝트이다. 구글맵을 활용하여 사라져가는 문래동의 흔적과 다양한 주제의 기록 자료를 제공하며 그 안에는 지역의 개발 이슈, 상업시설, 전시 공간, 창작자의 작업 공간 등 다양한 이해관계를 포함하고 있다.
문래일지도는 지역의 소리를 기록한 자료 ‘들릴지도’, 동물과 식물 탐방 ‘찾아야할지도’ 그리고 역사 탐방 ‘알아야할지도’로 분류되있다. 이 프로젝트는 문래동을 단순한 관광지가 아닌 경험과 기억으로서 탐방할 수 있는 특별한 지도를 제공한다. 전시와 문래일지도를 직접 만들어보는 스크린 프린팅 워크숍과 핀홀게임만들기를 통해 지역의 이야기를 함께 나누는 자리도 마련하였다.
_
"Mullae-Iljido" is a project that combines the names "Mullae" and "Daedongyeojido" to create a composite word. It allows for the documentation and exploration of Mullae-dong through various methods. Using Google Maps, it provides records and diverse materials on the fading traces of Moonrae-dong, including local development issues, commercial facilities, exhibition spaces, and creative workspaces.
The Mullae-Iljido is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Sounds to Hear" records the area's sounds, "Places to Discover" focuses on exploring animals and plants, and "History to Know" delves into the historical aspects. This project offers a special map that allows for an experiential and memorable exploration of Mullae-dong, going beyond a typical tourist attraction. Workshops such as screen printing and pinhole game-making are also available to create exhibitions and the Moongrae-Iljido, fostering opportunities to share the stories of the area.
프로젝트 기획, 홍보물 디자인, 워크숍
주관/주최: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영등포문화재단
문래와 대동여지도의 합성어인 문래일지도는 문래동을 다양한 방법으로 기록하고 탐방할 수 있는 프로젝트이다. 구글맵을 활용하여 사라져가는 문래동의 흔적과 다양한 주제의 기록 자료를 제공하며 그 안에는 지역의 개발 이슈, 상업시설, 전시 공간, 창작자의 작업 공간 등 다양한 이해관계를 포함하고 있다.
문래일지도는 지역의 소리를 기록한 자료 ‘들릴지도’, 동물과 식물 탐방 ‘찾아야할지도’ 그리고 역사 탐방 ‘알아야할지도’로 분류되있다. 이 프로젝트는 문래동을 단순한 관광지가 아닌 경험과 기억으로서 탐방할 수 있는 특별한 지도를 제공한다. 전시와 문래일지도를 직접 만들어보는 스크린 프린팅 워크숍과 핀홀게임만들기를 통해 지역의 이야기를 함께 나누는 자리도 마련하였다.
_
"Mullae-Iljido" is a project that combines the names "Mullae" and "Daedongyeojido" to create a composite word. It allows for the documentation and exploration of Mullae-dong through various methods. Using Google Maps, it provides records and diverse materials on the fading traces of Moonrae-dong, including local development issues, commercial facilities, exhibition spaces, and creative workspaces.
The Mullae-Iljido is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Sounds to Hear" records the area's sounds, "Places to Discover" focuses on exploring animals and plants, and "History to Know" delves into the historical aspects. This project offers a special map that allows for an experiential and memorable exploration of Mullae-dong, going beyond a typical tourist attraction. Workshops such as screen printing and pinhole game-making are also available to create exhibitions and the Moongrae-Iljido, fostering opportunities to share the stories of the area.
프로젝트 기획, 홍보물 디자인, 워크숍
주관/주최: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영등포문화재단